스피치 1

이마고 부부치료 (Imago Couple Relationship Therapy)

서미경 박사 2010. 12. 4. 02:13
이마고 부부치료

 

 
 
(1) 이마고 치료 개념 및 목적 

 

이마고 치료(Imago Couple Relationship Therapy)는 하빌 헨드릭스에 의해 최초 고안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부부가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각 발달단계의 상처난 부분들을 함께 치료함으로써 부부관계를 회복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여기서 이마고(lmago)는 라틴어로 심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나의 이마고는 어린 시절에 양육자와의 관계경험을 통해 무의식 속에 형성된다고 본다.

따라서 심각한 관계 갈등을 가지고 있는 부부들로 하여금 자신의 이마고와

배우자의 이마고를 발견하고 그 상처난 부분을 공유하고 치료함으로써

새로운 이마고를 형성하게 하며, 배우자는 바로 “자신의 상실된 자아(loss self)”이자

“나의 성장의 청사진”임을 깨닫게 하여 부부초기의 낭만적 사랑(eros)을 회복시켜

주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 프로그램은 인간과 신의 사랑을 다룬 큐피드와 사이키의 이야기 등

다분히 신화적 아이디어와 융의 이론과 에릭슨의 발달 8단계 그리고 대상관계

심리학자 마가렛 말러의 분리개별화 이론과 사이코드라마, 게스탈트 기법 등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2) 이마고와 뇌 

 

이마고는 무의식속에 저장되어 있다. 무의식은 구뇌의 일부이다.  구뇌는 뇌의 중심부로서

파충뇌와 포유뇌로 구성되어 있다. 파충뇌는 심장박동이나 소화기관, 호흡기관과 같이

우리 의식하지 못한 채 몸의 기능을 통제하는 곳에 위치해 있다.

또한 안전과 관계되어 생존기제들이 작동하게 한다.

포유뇌는 욕구와 감정, 생활방식 등이 저장되어 있는 곳이다.

부부관계에서 그들의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반응하는 것은 구뇌이다.

부부가 만나 사랑에 빠질 때 그들은 안정감을 경험하며, 사랑하고 돌보는

여러 활동들은 구뇌가 안정감을 느낄 때 기능한다.

그러나 부부들이 위기를 느낄 때, 공격, 싸우거나 도망, 죽은 체하기, 항복, 숨거나 한다.

이마고 부부대화법에서는 구뇌의 파충뇌 부분이 작동하여 방어하지 않고 안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3)발달단계 및 관계유형 
발달 단계는 5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단계에서 과업이 성취되지 못했을 경우 두 가지 반대적인 성격유형을 형성하게 된다. 

 

1단계 (0-2세) 애착단계(attachment)-밀착형/회피형 
이 단계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도움과 따뜻함이다. 아기를 충분히 안아주지 못했거나  

 부모의 돌봄을 받지 못했을 경우 발달손상이 일어나는데 밀착형 또는 회피형의

성격유형 중 하나로 형성된다.

밀착형(clinger)은 필요한 사랑과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사람을 만나게 되면 그 사람으로 부터 사랑과 욕구를 충족

받고자 매달리거나 그가 떠나는 것을 절대로 허락하지 않는다.

 

회피형은 부모의 과잉보호 때문에 심리적으로 부모의 보호에서 멀어지고자 한다.

따라서 다른 사람이 자신을 붙잡거나 보호하는 것을 원하지 않으며 대부분 혼자지내기를 원한다.  

 

2단계 (2-3세) 탐험단계(The exploration stage) -격리형/융합형  
이 단계에서 유아들은 두 가지를 필요로 한다. 즉, (1)탐험할 수 있는 기회와

 (2) 탐험 후 돌아와 탐험에 대해 나눌 수 있는 누군가가 필요하다.

이 단계에서의 필요가 충족되지 못했을 경우 융합형이나 격리형 중 하나로 발달하게 된다.

 

융합형은 다른 사람을 만나면 자신과 자신의 취향을 좋아하도록 만들려고 노력한다.

격리형은 자기를 위하여 열심히 사는 유형이고, 일이 관심의 중심이기 때문에 사업이나 직장에 성공적이다.  

 

3단계 (3-4세) 정체성단계(The exploration stage) -산만형/경직형   
이 시기는 아동들이 아기의 시기를 벗어나 자아감(a sense of self)을 찾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다양한 자신의 모습들을(a variety of selves)을 실험해보고 부모에 의한 반영(to be mirrored)이 필요하다.

그러나 부모가 아동 행동에 대해 너무 이런 식 저런 식이어야 한다고 엄격히 제한한다면

경직형(rigid)의 성격이 되며, 전혀 인정해주지 않고 지나쳐 버린다면 산만형(diffuse)의 성격이 될 것이다.

 

경직형은 자신이 믿는 일에 확고하고 고집스러우며, 엄격한 행동을 나타내고,

산만형은 자신들이 눈에 띄지 않는 느낌(feeling "invisible")을 받으며,

선택에의 갈등과 결정에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4단계 (4-6세) 힘과 경쟁의 단계(The stage of Power and Competence)-경쟁형/수동,조종형  
이 시기는 유치원에 다니고 집밖의 활동을 시작하면서 주변에 흥미를 갖고 경쟁력을 발전시킨다.

 이 단계에서 필요한 것은 칭찬, 지지, 반영(mirroring)이다. 그러나 부모가 아동 행동에 대해

부분적 반영이나 비판, 또는 전혀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는 경우엔 경쟁형 또는

수동,조종형의 성격 중 하나로 발달한다.

경쟁형은 일을 아주 잘하면 출세의 사다리를 잘 이용하여 사업에 성공적이다.

수동,조종형은 어느 곳에서나 자기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을 갖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남에게 보이는 것, 앞에 서는 것을 싫어한다.

 

5단계 (6-9세) 관심의 단계(The stage of Concern) -고독형/보호자형

  이 단계는 아동들이 집 밖에서 놀면서 우정을 발달시키는 단계이다.

문제는 아동이 친구를 사귀는 데 어려움을 겪을 때 일어난다. 만일 아이가 친구들을

사귀지 못하고 또 친구사귀는 방법에서 부모의 적절한 모델링을 받지 못했다면

아이는 고독형이나 보호자형의 성격유형을 형성하게 된다. 즉, 아동은 친구를

사귀기 위해 보호자(caretaker)가 되어야만 한다고 배움으로써 보호자형이 되거나

친구를 사귀는 일은 너무 고통스러운 일임을 배움으로써 고독형이 될 수도 있다.

 

*이마고 이론에 의하면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대부분 서로 반대유형의 사람과 사랑에 빠진다고 한다.

 

집착형-회피형, 격리형-융합형, 경직형-산만형, 경쟁형-수동형 또는 조종형,

 고독형-보호자형(알콜중독자 부부)과 사랑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마고 이론은 발달관계의 어떤 같은 지점에서 상처받았던

두 사람이 서로 만나 사랑에 빠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4) 부부대화법 

 

1)부부대화법의 세 단계  
이마고 치료의 부부 대화법은 ①반영하기(mirring), ②인정하기(validating), ③공감하기(empathizing)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부대화과정에는 “안전감”이 절대로 요구된다.

말하는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충분히 말하게 하며, 받아들여지고 이해되는 느낌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①반영하기: 부부대화의 첫 단계로 듣는 사람이 말한 사람의 말을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다.

 보통 사람들은 상대가 말하는 동안 그에 반응할 자신의 말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대로

듣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신의 방어적인 반응을 금지하고 의도적으로 배우자에게

집중하여 경청한 후 자신의 생각이나 듣기 원하는 말로 바꾸어 말하지 않고 그대로 되풀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니까 당신은....” “ 내가 정확하게 들었다면 당신은 ...라고 말했지요”.

 “맞아요?” " 더 할 말이 있나요?”  

 

②인정하기:

 듣는 사람이 정확하게 반영을 하면 인정하기를 훈련한다. 이것은 동의할 수도 있지만

 꼭 동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내 입장에서는 이해가 가지 않지만 당신의 입장에서는 얼마든지

그럴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인정하기는 관계 속에서 한쪽이 다른 한쪽과

어떻게 다른가를 알려주는 개별화 과정이다. 

 

“ 나는 당신이 그러한 관점(방식)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해요”  
“ 나는 그것을 이해할 수 있어요”. “... 때문에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네요”.

 

 
③공감하기:

 듣는 사람이 상대방을 인정할 수 있으면 그는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느낌도 이해할 수 있다.

듣는 사람이 감정이입을 하는 단계이며, 말하는 사람이 가질 수 있는 감정을 충분히 추측하여

말할 수 있다. “당신은 정말 슬펐겠어요.” “당황했겠어요.” “무시당한 느낌이었겠어요.” 

 

2)부부대화의 기능 
①연결;

 말하는 사람의 뜻을 이해하고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해준다.  

②통합적 분화 촉진:

 배우자의 독특성을 인정하면서 분화되어가도록 한다.  

③성장과정의 상처치유:

 서로의 어린 시절 성장과정에서 멈취버렸던 부분들을 찾아 부부대화기술을 습득함으로써 치유한다. 

④대화에 있어서 성 차이 극복:

 부부대화법은 사실보고 스타일의 남성과 공동관심사 스타일의 여성의 성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