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목소리 만드는 6가지 요건
좋은 목소리를 만드는 6가지 요건
좋은 목소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목이 건강해야 한다.
낡은 플라스틱피리로 낭만적인 클라리넷 소리를 낼 수 없는 것이다.
악기가 좋아야 한다좋응 소리가 나는 것이 당연한 이치이다.
그리고 목소리 조음에 관한 메카니즘을 이해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힘을 길러야 한다.
또한 자신의 컨디션과 생활 습관 등을 살펴 성대건강에 해가 되는 행동을 삼가 해야 한다.
특히 지나친 흡연, 자극적인 음식, 시끄러운 환경, 지나치게 건조, 과도한 소리지르기 등을
주의해야 한다. 어떤 운동이건 탄탄한 기초 체력이 기본인 것처럼 좋은 목소리 역시
기본 요건을 잘 갖추어야 한다.
성대 질병 수시 체크
목소리가 쉬거나 갈라지는 등의 문제가 2주일 이상 지속 된다면 성대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반듯이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봐야 한다. 쉰 목소리가
계속 나타나면 후두염, 성대비대, 성대 결절, 폴립, 후두암 등 목에 이상이 없는지
성대 질병을 체크 해 봐야 한다. 단순한 목감기라고 생각하고 방치하다간 되돌릴 수
없는 상황에 이를 수도 있다. 목소리는 후두와 성대의 건강을 드러내는 거울이라는
사실을 기억하기 바란다.
위식도역류의 빠른 치료
최근 들어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위식도 역류는 목소리를
변화시키는 원인의 하나다.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괄약근이 약해지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게 되는데, 이때 목소리가 잠기고 쉰 소리가 나거나 점액이 많이 끼어 헛기침을
많이 하게 된다. 담배, 술, 육류, 버터, 튀긴 음식, 카페인 음료, 콜라, 박하사탕 등을
삼가는 것이 좋다. 또 말을 많이 하기 전 커피나 홍차 마시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잠자리 들기 3시간 전에는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공명음을 반복한 습관
목소리는 폐에 있던 공기가 목을 통과 할 때 후두 안에 있는 성대를 진동시키면서 공명하는 과정에서 나온다 즉 좋은 목소리는 공명의 힘에 의해 깊고 풍부한 소리가 나오는 것. 따라서 공명이 잘된 목소리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몸 밖으로 멀리 낮고 부드럽게 퍼져 나가고, 공명이 안 된 소리는 입안에서 소멸 되므로 약하게 들린다. 공명이 잘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입을 크게 벌리고 이~아~우~로 목소리를 고른다. 그리고 가볍게 입을 다물고 허밍하듯 음~~이나 흠~~소리를 반복해서 연습하면 울림이 잘 이루어져 독특한 음색의 아름다운 목소리를 낼 수 있다.
산소공급이 늘어 나는 복식 호흡
숨을 깊게 들어 마시는 복식호흡은 신선한 산소를 많이 들어 마실 수 있는
건강에 좋은 호흡법이다. 복식호흡은 들숨일 때 횡격막을 아래로 누르면서
폐를 팽창시켜 충분한 공기를 마셨다가 내보내면서 횡격막을 제자리로 돌아가게
하는호흡이다. 흉식호흡보다 30%정도 많은 폐활양을 확보할 수 있다.
소리는 날숨일 때 폐 속으로 들어간 공기가 나오면서 성대를 진동시켜 내는
과정이므로 들숨보다 날숨을 더 길게 훈련해야 한다. 특히 복식호흡을 통하여
폐활양이 많으면 호기(呼氣)의 압력으로 성대가 힘들지 않고 안정된 톤의
부드러우면서도 힘이 있는 목소리를 낼 수 있다-
물은 얼마든지 OK. 그 외 음료는 No
성대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분 공급에 신경을 써야 한다. 말을 많이 하거나
노래를 부를 때도 물을 마셔서 성대를 마르지 않게 해줘야 한다. 하루 6~8잔 이상의
물을 마셔 주면 성대에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어 성대 점막이 촉촉하고 유연한 성대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똑같은 수분이라도 술, 청량음료나 커피 같은 카페인 함유 음료,
우유 같은 유제품은 오히려 체내에서 수분을 빼앗으므로 성대를 건조하게 만드는 음료는
피하는 것이 좋다.
불필요한 목소리 사용 자제
시끄러운 환경에서 과도하게 노래를 부르거나 가래를 뱉는 일은 목소리의 건강을 위협한다.
목을 킁킁거리며 헛기침을 하는 것도 목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하는 게 좋다.
헛기침을 하면 일시적으로 목에서 점액이 제거 되어 개운한 기분이 들지만 또 다시 점액이
채워져 계속하여 헛기침을 한다. 특히 생리 기간이나 호흡기 질환이 있을 때는 휴식을
취해야 한다. 특히 목소리를 아끼는 습관을 기르고 불필요 하게 큰 목소리로 얘기하거나
무리하게 가성을 사용하고 헛웃음을 치는 성대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자제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