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

10대 자녀를 잘 기르고 10대 자녀와 잘 지낼 수 있을까?

서미경 박사 2013. 1. 25. 06:27

<  10대 청소년 자녀를 잘 기르고  10대 자녀와 잘 지낼 수 있을까>

 

1.  십대 자녀와 부모의 관걔형성을 위해서

 

 1)  자녀들을 잘 다루지 못해 어려움을 겪을 때,

    (1) 옳고 그름의 문제로 접근해서는 안된다.

    (2) 우리의 불행은 우리가 원하는 사람과 원하는 만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2) 나와 우리 아이들이 예전에 비해서 더 행복하다고 느끼는 이유

    (1)  우리 사이가 예전보다 더 좋아졌기 때문이다.

     (2) 그의 말이 항상 진리는 아니지만 내가 알고 있는 대로 살아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내가 아직도 모르고 있는 어떤 것을

      배워 새로운 지침을 얻어서 더 사이가 좋게 부모, 자녀 관계를

      유지한다면 행복하다고 느낄 것이다..

 

3 ) 빗나간 자녀를 바로 잡으려고 벌을 주거나 야단을 치면

    (1) 부모가 보는 앞에서는  부모의 말을 잘 듣는 것 처럼 행동을 해도,

      부모가 보지 않는 곳에서는 아이들이 자기 하고 싶은 대로 반항적인  

      행동을할 뿐만 아니라, 이들 스스로 행동을 멈추지 않는 다면

      이들의 행동을 어떻게도 통제할 수가 없다.

 

4)   사랑에 굶주린 자녀에게 언제, 어떻게 든지 사랑을 줘야 한다. 

   (1) 사랑한다라고 자녀를 대하는 시기는 사랑을 줘야 할

      어떤 상황이  발생했을 때가 중요하다. 

   (2)  부모가  진실로 자녀를 사랑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있을 때는

        당신의 자녀가 잘 지내고 있을 때가 아니라,

         당신 자녀가 심각한 상황에 처했을때

        부모인  당신이 자녀를 어떻게 대하는를 잘 살펴보면  알 수있다.

 

2.인간관계에서 부모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은 부모 자신의 행동 뿐이다.

  1) 부모 - 자녀관계에서 반항 할때:부모가 같이 화내는 행동도 이해 할 수있는 정상행동이다.
     (1) 부모들은 여러세대를 지내오면서도 화를 내고 자녀를 통제하는 방법으로 행동했다.

     (2) 부모가 통제하는 행동은 과거, 지금, 미래에도 효과가 없는 행동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부모들은 여전히 그 행동을 선택하고 있다.

 

   2) 자녀와 다툼이있거나 반항을 할 때 그상황을 녹음 하자.

      최근에 싸웠던 것을 녹음하여 자세히 들어보고, 다시 싸움이 있을 때 녹음을 하여서

      비교해 본다.

 

   3) 부모가 청소년 자녀와 사이좋게 지내지 못하게 되면,

     (1) 그들을 통제하려 하지만 자녀들을 통제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2 ) 청소년과 잘 지내지 못하고 통제하면 할 수록  그들을 통제할 수없게 된다.

     (3)  부모와 자녀관계에서  잘 지낼 때만 자녀에게 약간의 통제를 가능하게 한다.

 

   4)  부모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은 부모  자신의 행동 뿐이다.

       부모는 자녀를 통제 할 수없고  통제할 수 있는 유일한 행동은

       부모 자신의  행동 뿐이라는 것을 알아 차리게 되면

       효과가 없는 행동을 중단하게 될 것이다.

 

  10대 자녀로 인해 불행한 부모들은 무엇인가를 해야한다고 생각하며,

    자녀를 변화시키기위해  강제적으로  무엇인가를 해주고 싶어서 노력하게 되면 

    오히려 자녀에게 외부통제를 하게 되어서  인간관계 마저  파괴 하게 된다

 

 3.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Win win하기

 

 1) 의사소통의 걸림돌 9가지 나쁜습관

   원망하기,  비난, 비판하기, 불평하기. 잔소리하기,

   위협하기. 벌주기. 명령, 통제하기

 부모 자녀 관계를 해치는 의사소통의 나쁜 습관 9가지는 바로  자녀의 기를 꺽어줄 수있다.

그래서 심각하게  반항적인 행동으로   부모의 화를 불러 일으키거나  혹은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소극적인 자녀가 될 것이다. 부모의 말한마디는 자녀의 바른 행동을 하게 만들수 있다.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하는 의사소통의 나쁜 습관은 부모 자신이 자녀를 통제하기 위한 언어의 선택이었다는 것을

부모스스로 깨달아서 자녀에게 " 내가 화 나도록 네가 만들었잖아"라는  비난, 원망을 하지 않게 될 것이다.

 

2) 좋은 관계를 소통시키는 9가지  좋은 습관

청하기, 공감하기,  칭찬하기, 배려하기, 지지하기,

협상하기, 친구되기, 격려하기, 존중해주기

 

지금,  청소년 자녀의  부모의 행동과 말하는 태도는  예전의 부모들이 우리에게 했던 말이나 행동을

그대로 반복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부모의 말한마디가 자녀에게 용기를 주는  부모의

 마음을 전달할 수있게  좋은 관계를 소통시키는  9가지 좋은 습관과 긍정적인 언어를 선택해서

 자녀에게 말하고 행동한다면  자녀 서로 Win - win 하게 될 것이다.

 

3) 통제하기를 멈추면 통제하게된다.

 (1) 십대 청소년 자녀가 어떤 행동과 말을 하더라도, 누가 옳은지 그른지를 따지지 말아야 한다.

 (2) 부모의 행동이 자녀에게 도움을 주는 것인지, 아닌지를  잘 살펴보고 자녀와 인간 관계를 잘 맺도록 유의한다.

 (3) 자녀와 싸움이 시작되었다라도, 부모는 그 싸움에서 꼭 이길 필요는 없다.

    자녀에게 양보하는 것을 보여주게 되면 , 자신의 부모가 옳고 그름을 떠나서, 자신에 대한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는 대신 자신과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는 부모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어 부모는 언제나 그릇된

    사람이라는 자신의 관점을  바꿔 생각할 수있게 된다..

 

 (4) 부모 자녀의 성공적인 관계의 비결

      (!) 힘을 가진 부모가 약한자녀의 입장을 배려 해주도록 하자.

      (2) 부모 -자녀간에 긴장하고 있음을 해소 시켜야 한다.

        문제가 생길 때 까지 기다리지 말고 항상 자녀에게 편안한,

        관계를 위해서 힘쓰고 있음을 느끼게 하라.

      (3) 부모로서의 권위와 힘을 사용하고 싶은 충동을 억제하고

        자녀와 잘 지내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자녀가 느끼도록하자.

      (4) 자녀를 인격적으로 존중해주자.

        자녀를 통제하려고 한다면 , 자녀를 인격적으로 대하고 존중해줄 때

        관계가 돈독해지고  부모의 통제를 받아 주려고 한다.

     (5) 자녀가 문제를 해결 하도록  믿어주고 기다려 주자.  

        어떤 문제가 있다고 해도 해결책은 자녀에게 있다

        자녀가 해결 할 수있도록 묵묵히 기다려주는 것은

       자녀를 신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6) 좋은 습관을, 좋은 행동으로 습관화 하자.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우리의 행동을 바꿔야 한다.

      좋은 인간관계를 위해서는 타인에 대한 배려와 내 생각을 전적으로 주장하지 읺는다.

     그래서  주위에서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판단해주고 , 상대를 내마음대로 통제하려고

     하는 사람은 자신의 행동을 객관화 해서 잘 살펴보고, 주위를 통제하는 것보다,

     상대를 인정해주고  자신만을  통제하는 사람으로서 행동하다면 부모 자녀관계는

     더욱더 돈독해 질것이다.